[이인권 대표 잉글리시 'Why?'] 영어 쓰면 폼나게 생각하는 '매스티지 효과'

 "영어는 커뮤니케이션의 필수 매개체다"

▲ 이인권 뉴스프리존 논설위원장

오래 전에 일본의 《아사히 TV》에서 <초 경쟁 사회-한국> 이라는 특집 다큐를 방송한 적이 있다. 한국처럼 좁은 땅덩어리에서 빨리 빨리 경쟁의 톱니바퀴 속을 헤쳐 나가는 한국인의 모습을 담았다.

그 중에서도 아침 일찍 외국어를 배우러 학원으로 몰리는 한국 직장인들의 고달픈 현실을 꼬집었다. 해외언론의 시각에서도 격심한 경쟁 속에서 영어 능력을 갖추려는 직장인들의 간절함이 특별하게 보였던 모양이다.

이제는 거리의 간판은 물론, 하다못해 동네의 작은 편의점에 가서 구입하는 작은 일용품에서부터 백화점의 명품에 이르기까지 어느 물건 하나에도 영어가 들어가지 않은 것이 없다. 일상에서 영어로 표기하는 것은 일상화 내지 보편화 된 느낌이다.

생활 정보를 안내해 주는 시설의 간판에 ‘비즈니스 서비스 코너’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다. 간판을 보면서 문득 그 표현을 우리말로 표현하면 어떻게 될까하고 여러 가지로 궁리해 보았다. 그러나 어떤 우리말로 대체하더라도 영어가 주는 문구만큼 살갑게 느껴지지가 않았다.

이미 외래어로 정착된 말들이 우리에게는 더 친숙하게 느껴지게 되었다. 그런데도 갈수록 점점 더 생경한 외국어가 우리의 생활언어에 파고드는 것은 글로벌 시대의 영향 때문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요즘 많은 아이돌 그룹들의 명칭도 영어가 태반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후크음악(hook music)의 노래가사나 랩에 영어가 들어가지 않으면 젊은이들이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어느 외국 유명 브랜드 프랜차이즈 커피 잔의 포장지를 보자. 한국 사람이 주 고객임에도 포장지에 한국어는 단 한 마디도 없다. 모두가 영어로 쓰여져 있다. 그것뿐인가. 동네 유명 제과점 체인에서 사먹는 어느 샌드위치나 명품 식품들은 아예 영어로만 포장이 되어 있는 경우도 많다. 우리말을 찾아볼래야 찾아볼 수가 없다.

이것은 영어가 단순한 제품 표기나 설명을 넘어 마케팅 디자인과 문화적 소통, 아니 현대 고급 생활문화의 필수 매개체가 되어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알게 모르게 우리의 생활 속에 영어는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영어의 시대적 매력 때문에 이제는 '이브자리'(Evezary), '아리따움'(ARITAUM), '푸르지오'(PRUGIO) 처럼 순수 우리말을 의도적으로 영어화해서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문화예술 분야에 '모던가야그머'라는 신조어가 있다. 퓨전국악을 한다는 의미의 '모던'(modern)에 가야금 연주자를 영어식으로 바꾼 '가야그머'를 합쳐 만든 말이다. 한편 KT&G라는 기업이 있다. 종전의 공기업이었던 한국담배인삼공사가 민영화되면서 새로 만들었던 회사 명칭이다. 'Korea Tomorrow & Global'의 약칭으로 한국의 미래와 세계화된 미래를 내다보는 기업이 되겠다는 비전과 도적의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한다.

한국담배인삼공사에서 KT&G로 명칭이 영어로 바뀌면서 그야말로 기업의 이미지는 천양지차로 혁신되었다. 단순한 영어 네이밍이 이렇게 한 기업을 세계적 수준의 위상으로 탈바꿈 시키는 효과를 톡톡히 보게 한 것이다. 우리네 생활 속에서도 영어를 좀 섞어가며 대화를 하면 마치 유식하고 품격 있는 것처럼 여겨진다. 굳이 영어를 쓰지 않더라도 좋은 우리말이 버젓이 있는데도 영어를 끌어다 쓰는 것은 일종의 과시욕이다.

전에 한국의 유명한 디자이너가 "엘레강스하고 럭셔리하고 스펙타클하고… 버줜 업되어 뷰티 업된…"과 같은 말을 자주 쓴 적이 있다. 그래서 방송에서 연예인들이 그의 말을 모방해서 웃음을 선사하고는 했었다. 사실 우리말을 쓰자는 주장들도 많이 하지만 글로벌 시대가 되면서 일상생활 언어에서 영어를 쓰는 추세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시스루', '시크', '뷰티', '밀리터리', '워터프루프', '패밀리' 등등… 엄연히 훌륭한 한국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가 거의 우리말처럼 일상적으로 쓰이고 있다. 홈쇼핑 광고에 나온 문구들이다.

"데이트용 블라우스와 섹시 큐트 시스루 카라 원피스를 샀지만 솔로인게 함정이다."

"퍼피짱 스포티 밀리터리 올 인원 레드", "워터프루프 뷰티 칼라", "캐시캣 워터푸루프 마스카라와 시크한 셀프 네일아트".

이걸 보면 이게 한국어로 하는 광고인지 영어로 하는 광고인지 통 구분이 안 된다. 그럴 정도로 영어는 일상 커뮤니케이션에서도 일종의 '매스티지'(Masstige)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말하자면 영어를 쓰면 무언가 고급스럽고 품격 있게 보일 수 있다는 심리를 갖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런 심리가 바로 영어에 대한 애착심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관련기사
SNS 기사보내기
뉴스프리존을 응원해주세요.

이념과 진영에서 벗어나 우리의 문제들에 대해 사실에 입각한 해법을 찾겠습니다.
더 나은 세상을 함께 만들어가요.

정기후원 하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뉴스프리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